home/user/page.js API 키 목록 요청 요청 URL: ${process.env.NEXT_PUBLIC_API_URL}/APIkeyList 요청 메서드: POST 요청 바디: { email: string } 응답 형태: 주요 필드 설명 필드명 설명 id API 키 고유 ID provider_name 공급자 이름 (예: OpenAI) api_key 사용자의
코드 업데이트 SQLAlchemy 코드 경고문 기존에 SQLAlchemy 코드를 활용한 CRUD 코드들은 전부 위와 같은 경고문이 출력되고 있었습니다.실제 코드 실행에 문제가 되는 부분은 아니지만, 이는 SQLAlchemy 1버전에서 주로 사용되던 방식이라고 합니다.현재 MSP는 신규 버전의 SQLAlchemy를 사용하기 때문에
채팅 기능 4월 11일,API나 세션 관련해서 발생하는 문제점들을 중점적으로 수정했습니다. API 코드 변경 기존 코드는 에이전트 구성과 임베딩을 위해 OpenAI를 활용했습니다.그렇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OpenAI의 API 키가 없을 경우,Claude와 같은 다른 모델을 사용해도 에러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습니다.그래서
개발 환경 및 스택 개발 언어 : JavaScript (ES6+), Node.js 프레임워크 : Next.js 14 (app router) 라이브러리 : NextAuth.js, axios, shadcn/ui 소셜 로그인 제공 : Google, Naver, Kakao API 통신 : axios 활용 구현 목표 Google,
사용된 토큰 추정 OpenAI OpenAI의 경우 LangChain 라이브러리에서, 사용된 토큰 수와 그로 인해 발생한 비용을 계산하고 반환해줍니다.그렇기 때문에 OpenAI 사용량은 Anthropic과 별개로 LangChain을 활용하여 정리합니다. CRUD 코드 데이터베이스 내의 API 키 테이블에서 usage_count 컬럼 값을 업데이트하는
임베딩 모델 현재 사용하고 있는 LangChain 구조에서,답변 생성을 위한 모델 자체는 사용자가 선택한 모델을 제공하고 있습니다.그러나 백엔드에서 동작하는 에이전트 모델 / 임베딩 모델은 전부 OpenAI 기반입니다.그렇기 때문에 사용자가 Claude를 선택해도, 백엔드에서는 OpenAI 기반 모델들이 함께 동작해야
기존 QA 코드 프로젝트 내의 지식베이스 내용과 세션 내 대화 이력을 바탕으로 질문에 대하여 답변을 생성해주는 것이 기존 QA Chain 코드가 가지고 있던 기능입니다. 기존 대화 이력 및 지식베이스의 데이터는 전부 한 번에 LLM에게 전달하는 것이
비밀번호 암호화 기존 DB에서는 회원 테이블에서 비밀번호를 암호화하지 않은 채, 원본 그대로를 저장하고 있었습니다.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보안상의 문제가 있기 때문에 비밀번호를 암호화했습니다. Bcrypt 현재 비밀번호 암호화를 위해 Bcrypt를 사용했습니다.Bcrypt는 해시 알고리즘을 통해 데이터를 암호화합니다.데이터를 암호화한 이후
DB 구조 변경 3월 이후 기존 DB와 비교했을 때, 새로 생성된 테이블이나 삭제된 테이블이 많습니다. 또한 기존 테이블도 특정 컬럼이 추가되거나 수정되는 등의 변화가 생겼습니다. 그로 인해 모델 코드 또한 전체적으로 수정되었습니다. 모델 코드 모델 코드는
기본 설정 및 디렉터리 생성 LangChain 라이브러리 설치 파이썬 가상환경에 langchain 라이브러리와, 함께 쓰일 패키지들을 전부 설치합니다. 디렉터리 구조 CORE core/config.py 기존 config.py에서 해당 내용을 추가합니다. 사용할 모델의 API Key나, 사용할 모델명을 정의합니다. LLM LLM 모델과
기존 코드 구조 기존에는 위 코드처럼 엔드포인트를 정의할 때, 직접 엔드포인트 정의 함수에서 데이터베이스에 접속하여 상호작용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이후에 유지보수하기에 있어서, 코드가 너무 길고 복잡해집니다. 그렇기 때문에 현재 CRUD 디렉터리를 새로 생성하여, DB와 상호작용하기 위한
Schema 구현 ( Pydantic 기반 ) 현재 MSP 백엔드 프로젝트에서는 schemas 디렉터리를 통해 endpoint에서 요청받고, 응답할 데이터의 구조를 정의할 예정입니다. FastAPI에서 제공하는 OpenAPI 문서를 위해서입니다. 우선 해당 문서에서는 Login 기능에 관한 Schema 구현 및 endpoint 변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