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드프레스 홈페이지에 접속 시 다음과 같이 “로봇이 아니라는 것을 확인하려면 «ALLOW»를 클릭하세요!” 메시지가 나타나는 경우가 있습니다. 위 이미지 뜨고 브라우저 주소창에 다음과 같은 링크 주소가 보입니다. https://second-check-tl.azurewebsites.net/gb/index2.html?utm_term=CHiI7Gh3GUyTa8XGgNqDyQ&utm_content=cphe81qjvq3c3js61ckg&ts=1717756935 이 경우 워드프레스 코어, 테마 및 플러그인을 최신 버전으로
지금까지 워드프레스 악성코드 문제 발생 시 다음과 같이 <script> 패턴이 주를 이루었습니다. 이번에 워드프레스 악성코드 문제가 새롭게 발견되었는데 주 패턴은 다음과 같습니다. <div style=”display:none”> 으로 시작되는 코드가 워드프레스 글/포스트/커스텀 포스트 타입 등에 침투하여 워드프레스 보안 문제를
워드프레스 기본 관리자 접속 주소는 보통 다음의 2가지를 사용합니다. https://도메인/wp-adminhttps://도메인/wp-login.php 이 주소는 공개된 것이라서 보안 강화를 위해 워드프레스 관리자 접속 주소를 변경하는 경우가 있는데, 다음과 같은 워드프레스 플러그인으로 관리자 접속 주소를 쉽게 변경할 수 있습니다. 위
하단과 같이 DB Table 안 악성코드 제거 시 참고하면 좋을 query 문 입니다 1. <script> 조회 2. revision 삭제 post_type 중 revision 삭제
워드프레스 홈페이지를 만들고 한 동안 방치해 두었는데, 다시 홈페이지에 접속 하였더니 다음과 같이 멜웨어에 감염 되었다고 이를 해결해 달라는 문의가 종종 있습니다. (위 메시지는 크롬 브라우저에서 뜨는 메시지입니다. 다른 브라우저에서는 다른 메시지가 출력됩니다)
얼마전까지만 해도 워드프레스 기반으로 오랜 시간 운영해 온 홈페이지가 많지 않았는데, 최근에는 2년에서 4년 이상 꾸준히 워드프레스 홈페이지를 운영해 온 경우를 자주 보게 됩니다. 장기간 워드프레스 홈페이지를 운영해 온 대부분의 개인 또는 업체에서 공통적으로 발생되는
최근 한 클라이언트로부터 ”워드프레스 홈페이지에서 특정 키워드로 검색 시 이상한 글이 나타난다”라는 요청을 받고 해당 홈페이지를 확인해 본 적이 있는데, 정말 알 수 없는 검색 결과가 나타나서 이건 또 무슨 경우이지 하고 궁금해 한 적이 있었습니다.
최근 몇 주 사이에 워드프레스 커뮤니티 내에서 여러 보안 문제가 발생 하다보니 워드프레스 정식 버전, security 버전, security & maintenance 버전이 몇 일 간격으로 계속 나오고 있습니다. 거기에 (보안 이슈로 인해) 워드프레스 주요 플러그인까지 패치 버전이
워드프레스 4.2 버전이 정식 출시된 지 며칠 지나지 않았는데, 주요 보안 문제(critical security)로 인해 워드프레스 4.2.1 Security 버전이 출시 되었습니다. 이번에 발견된 보안 문제는 Jouko Pynnönen.에 의해 발견된 cross-site scripting vulnerability (commenters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로
중요 보안 업데이트 버전인 워드프레스 4.1.2 버전이 출시 되었습니다. 중요 보안 업데이트 버전이니 만큼 이전 버전의 워드프레스를 사용하신다면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를 하시기를 바랍니다. 이번 워드프레스 4.1.2 버전에서는 익명 사용자가 사이트에 위협을 줄
원문 글인 ”XSS Vulnerability Affects More Than a Dozen Popular WordPress Plugins”를 어떻게 번역하는 게 좋을지 고민하다 ”워드프레스 유명 플러그인이 XSS Vulnerability에 감염되다”로 의역을 했는데 괜찮은지 모르겠습니다. 어쨌든 워드프레스의 많은 플러그인이 XSS Vulnerability 때문에 문제가 되고
워드프레스 보안 문제가 날이 갈수록 심각해지고 있는 가운데, 최근 보안 뉴스에서 워드프레스 보안과 관련하여 함께 공유하면 좋을 기사가 나왔습니다. 이 기사의 내용 중 일부를 발췌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콘텐츠 관리 시스템(일명 CMS) 플랫폼 중 해커들이